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공유 드라이브입니다. 이 글에서는 구글 드라이브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공유 드라이브(Shared Drive)의 개념, 특징, 일반 드라이브와의 차이, 실제 사용법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립니다.
1. 공유 드라이브란?
공유 드라이브는 Google Workspace에 포함된 기능으로, 여러 명이 함께 소유하고 관리하는 공동 저장소입니다.
- 개인 계정이 아닌 조직(회사, 학교 등)이 파일을 소유합니다.
- 팀원 전체가 드라이브에 접근 가능하며, 역할에 따라 권한이 다릅니다.
- 누군가 퇴사하거나 팀을 떠나도, 파일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요약하자면, "내 드라이브는 개인용, 공유 드라이브는 팀용"입니다.
2. 공유 드라이브 vs 내 드라이브 : 차이점 비교
구분 | 내 드라이브 | 공유 드라이브 |
---|---|---|
파일 소유권 | 개인 계정 | 조직(회사, 학교 등) |
공유 방식 | 개별 파일 또는 폴더 단위 | 드라이브 전체 구조 공유 |
관리 권한 | 파일마다 개별 설정 | 역할(관리자, 기여자 등) 기반 제어 |
퇴사 시 파일 | 계정 삭제 시 사라짐 | 팀에 남아 있음 |
협업 중심 | 제한적 | 전체 팀 공동 사용에 최적화 |
3. 공유 드라이브에서 할 수 있는 주요 작업
- 📁파일 업로드 및 생성 :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등을 공유 드라이브에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
- 👥권한 관리 : 팀원마다 관리자 / 콘텐츠 관리자 / 기야자 / 댓글 작성자 / 보기 가능 권한 설정 가능
- 🔄️파일 이동 : 내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공유 드라이브로 옮겨 소유권 이전
- 🔒보안 설정 : 링크 공유 제한, 다운로드/복사 방지 설정 등 지원
- 🧾버전 기록 및 복원 : 실수로 삭제하거나 수정된 파일도 쉽게 복원 가능
4. 공유 드라이브 사용 방법 (간단 단계)
📌전제 : Google Workspace 계정이 있어야 사용 가능
공유 드라이브 만들기
- Google Drive에 로그인
- 좌측 메뉴 → 공유 드라이브 클릭
- 상단 + 공유 드라이브 만들기 선택
- 이름 지정 후 생성 완료
팀원 추가 및 권한 설정
- 공유 드라이브 상단에서 '사용자 추가' 클릭
- 이메일 입력 → 역할 선택 (관리자, 보기 등)
- 초대 완료
폴더 및 파일 정리
- 필요에 따라 폴더 생성 후 문서 업로드
- 권한을 폴더별로 따로 설정 가능
- 정해진 구조로 체계적으로 관리 가능
5. 공유 드라이브 도입이 유용한 경우
- ✅팀 단위 협업이 많은 조직
- ✅구성원 변경이 잦은 기업
- ✅프로젝트 파일의 중앙 관리가 필요한 상황
- ✅외부 사용자와 안전하게 파일 공유해야 할 때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개인 Gmail로는 공유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없나요?
네. 공유 드라이브는 Google Workspace 전용 기능입니다.
Q2. 공유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파일은 어디로 가나요?
휴지통으로 이동되며, 관리자만 복원 또는 완전 삭제할 수 있습니다.
Q3. 공유 드라이브에서 파일 소유자를 바꿀 수 있나요?
소유자는 조직(도메인)이며, 개인 소유자로 전환은 불가능합니다.
Q4. 공유 드라이브 내 폴더도 개별 공유 설정이 가능한가요?
네. 하위 폴더별 권한 조정 가능하며, 상위 폴더 권한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 협업의 중심, 공유 드라이브
공유 드라이브는 단순한 저장 공간이 아니라 팀 전체가 함께 일하고, 관리하며, 유지할 수 있는 협업의 허브입니다.
📌파일이 사람에 귀속되지 않고 조직 중심으로 관리되는 것, 이게 바로 "진짜 효율적인 협업"의 출발점 아닐까요?
📎관련글 추천: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