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이 자료 어디 있지?", "퇴사하면 파일도 없어지나요?" 같은 상황, 겪어보셨죠?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공유 드라이브입니다. 이 글에서는 구글 드라이브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공유 드라이브(Shared Drive)의 개념, 특징, 일반 드라이브와의 차이, 실제 사용법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립니다.

팀 협업 중 공유 드라이브가 필요한 상황 일러스트


1. 공유 드라이브란?

구글 공유 드라이브의 구조 일러스트

공유 드라이브는 Google Workspace에 포함된 기능으로, 여러 명이 함께 소유하고 관리하는 공동 저장소입니다.
  • 개인 계정이 아닌 조직(회사, 학교 등)이 파일을 소유합니다.
  • 팀원 전체가 드라이브에 접근 가능하며, 역할에 따라 권한이 다릅니다.
  • 누군가 퇴사하거나 팀을 떠나도, 파일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요약하자면, "내 드라이브는 개인용, 공유 드라이브는 팀용"입니다.

2. 공유 드라이브 vs 내 드라이브 : 차이점 비교

공유 드라이브와 내 드라이브 차이 일러스트

구분 내 드라이브 공유 드라이브
파일 소유권 개인 계정 조직(회사, 학교 등)
공유 방식 개별 파일 또는 폴더 단위 드라이브 전체 구조 공유
관리 권한 파일마다 개별 설정 역할(관리자, 기여자 등) 기반 제어
퇴사 시 파일 계정 삭제 시 사라짐 팀에 남아 있음
협업 중심 제한적 전체 팀 공동 사용에 최적화

3. 공유 드라이브에서 할 수 있는 주요 작업


  • 📁파일 업로드 및 생성 :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등을 공유 드라이브에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
  • 👥권한 관리 : 팀원마다 관리자 / 콘텐츠 관리자 / 기야자 / 댓글 작성자 / 보기 가능 권한 설정 가능
  • 🔄️파일 이동 : 내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을 공유 드라이브로 옮겨 소유권 이전
  • 🔒보안 설정 : 링크 공유 제한, 다운로드/복사 방지 설정 등 지원
  • 🧾버전 기록 및 복원 : 실수로 삭제하거나 수정된 파일도 쉽게 복원 가능

4. 공유 드라이브 사용 방법 (간단 단계)

📌전제 : Google Workspace 계정이 있어야 사용 가능

구글 드라이브에서 공유 드라이브 생성하는 화면

공유 드라이브 만들기

  1. Google Drive에 로그인
  2. 좌측 메뉴 → 공유 드라이브 클릭
  3. 상단 + 공유 드라이브 만들기 선택
  4. 이름 지정 후 생성 완료

팀원 추가 및 권한 설정

  1. 공유 드라이브 상단에서 '사용자 추가' 클릭
  2. 이메일 입력 → 역할 선택 (관리자, 보기 등)
  3. 초대 완료

폴더 및 파일 정리

  • 필요에 따라 폴더 생성 후 문서 업로드
  • 권한을 폴더별로 따로 설정 가능
  • 정해진 구조로 체계적으로 관리 가능

5. 공유 드라이브 도입이 유용한 경우

구글 공유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팀원들

  • ✅팀 단위 협업이 많은 조직
  • ✅구성원 변경이 잦은 기업
  • ✅프로젝트 파일의 중앙 관리가 필요한 상황
  • ✅외부 사용자와 안전하게 파일 공유해야 할 때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개인 Gmail로는 공유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없나요?

네. 공유 드라이브는 Google Workspace 전용 기능입니다.

Q2. 공유 드라이브에서 삭제한 파일은 어디로 가나요?

휴지통으로 이동되며, 관리자만 복원 또는 완전 삭제할 수 있습니다.

Q3. 공유 드라이브에서 파일 소유자를 바꿀 수 있나요?

소유자는 조직(도메인)이며, 개인 소유자로 전환은 불가능합니다.

Q4. 공유 드라이브 내 폴더도 개별 공유 설정이 가능한가요?

네. 하위 폴더별 권한 조정 가능하며, 상위 폴더 권한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 협업의 중심, 공유 드라이브

공유 드라이브는 단순한 저장 공간이 아니라 팀 전체가 함께 일하고, 관리하며, 유지할 수 있는  협업의 허브입니다.

📌파일이 사람에 귀속되지 않고 조직 중심으로 관리되는 것, 이게 바로 "진짜 효율적인 협업"의 출발점 아닐까요?


📎관련글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