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남자'만의 점수 합계나, '1월'에 발생한 매출만의 총합을 구하는 일이죠.
이럴 때 꼭 필요한 함수가 바로 SUMIF 함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SUMIF 함수의 기본 사용법부터 다양한 조건 예제, 실무 자동화 팁까지 모두 소개합니다.
SUMIF 함수란?
SUMIF 함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값만 더하는 함수"입니다.
복잡한 필터 없이 수식 한 줄로 조건부 합계를 구할 수 있어 데이터 분석 자동화의 핵심 함수로 자주 쓰입니다.
SUMIF 함수 기본 구조
=SUMIF(범위, 조건, [합계범위])
인수 | 설명 |
---|---|
범위 |
조건을 검사할 셀 범위 |
조건 |
조건(예: ">50", "=남자", "<=2024-01-01") |
합계범위 (선택) |
실제로 더할 셀 범위 (기본은 조건 범위와 동일) |
실전 예제로 배우는 SUMIF 함수 사용법
1. 숫자 조건 예제
=SUMIF(B2:B10, ">100")
👉B2~B10 범위에서 100보다 큰 값만 합산합니다.
2. 텍스트 조건 예제
=SUMIF(C2:C10, "남자", D2:D10)
👉C열에서 "남자"인 경우에만, D열 점수를 더합니다.
3. 날짜 조건 예제
=SUMIF(A2:A10, "<=2024-12-31", B2:B10)
👉A열에서 2024년까지의 날짜에 해당하는 B열 값을 합산합니다.
📌날짜는 쌍따옴표 안에 날짜 형식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4. 와일드카드 활용 예제
=SUMIF(A2:A10, "*상품", B2:B10)
👉"상품"으로 끝나는 문자열을 가진 A열의 조건에 대해, B열을 합산합니다.
- * : 모든 문자 대체
- ? : 한 글자 대체
5. 셀 참조를 조건으로 사용
=SUMIF(A2:A10, ">"&C1, B2:B10)
👉A열이 C1 셀보다 큰 경우만, B열을 더합니다.
📌조건은 문자열 + 셀참조 형식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SUMIF 사용 시 주의할 점
- 조건 범위와 합계 범위는 반드시 같은 행 수를 가져야 합니다.
- 날짜/텍스트 조건은 큰따옴표("") 안에 입력해야 합니다.
- 텍스트가 혼합된 범위를 다룰 때는 셀 서식 확인이 중요합니다.
SUMIF vs SUMIFS 차이점
구분 | SUMIF | SUMIFS |
---|---|---|
조건 수 | 1개 | 2개 이상 가능 |
함수 구조 | 간단함 | 조금 복잡함 |
사용 예시 | 단일 조건 필터링 | 복합 조건 필터링 필요할 때 |
SUMIF 함수 활용 꿀팁
- 필터 없이 조건별 합계를 구할 수 있어 보고서 작성 속도 향상
- 수정/삭제에도 자동 업데이트되어 유지관리 용이
- 조건에 따라 색상, 아이콘 조건부 서식과 함께 사용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조건이 여러 개인 경우에도 SUMIF을 쓸 수 있나요?
SUMIF 함수는 단일 조건만 지원합니다. 조건이 2개 이상이면 SUMIFS를 사용하세요.
Q2. 조건이 날짜 형식일 땐 왜 값이 안 나올까요?
날짜는 "<2024-01-01"처럼 쌍따옴표 안에 정확한 형식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또는 셀 참조로 입력할 경우 ">"&A1처럼 연결하세요.
Q3. 텍스트 조건이 인식되지 않아요
텍스트 조건은 "남자", "=서울"처럼 반드시 큰따옴표 안에 작성해야 하며, 띄어쓰기나 오타도 주의해야 합니다.
마무리 : SUMIF 함수는 보고서 자동화의 첫걸음
SUMIF 함수는 엑셀에서 가장 실용적인 함수 중 하나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빠르게 합산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특히 반복적인 합계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죠.
👉이제 SUMIF를 익혔다면, 다음 단계로 SUMIFS, AVERAGEIF, COUNTIF 함수도 함께 익혀보세요!
📎관련글 추천: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