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를 시작하려고 냄비를 올렸는데, 계량컵이나 저울이 없다면 어떨까요?
초보자에게는 막막할 수 있지만, 사실 많은 요리사들은 계량 없이도 '비율'로 요리를 합니다.
1:1, 3:2:1 같은 비율 공식만 기억하면, 요리는 더 이상 어려운 과제가 아닙니다.

계량 없이 요리하는 모습의 일러스트


이 글에서는 계량 도구 없이도 맛있게 요리할 수 있는 실전 비율을 친절하게 소개합니다.
당신도 이제부터 '감으로 요리하는 법'을 과학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1. 왜 비율로 요리를 해야 할까?

1.1 계량도구 없이도 정확하게 요리 가능

비율은 상대적인 양이기 때문에 컵, 숟가락, 종이컵, 국자 등 어떤 도구로도 요리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간장 2 : 설탕 1의 비율이라면 어떤 도구로도 2:1만 맞추면 됩니다.

1.2 빠르고 간편한 요리 가능

레시피마다 다른 수치 외우기보다, 몇 가지 비율만 외워두면 여러 요리에 응용 가능합니다.
복잡한 계량 없이도 요리 속도가 빨라지고, 설거지 거리도 줄어듭니다.


2. 기억하면 평생 써먹는 요리 비율 공식

요리 비율 공식 정리 인포그래픽

2.1 볶음 요리 공식 : 간장 2 : 설탕 1 : 맛술 1

  • 예 : 제육볶음, 간장닭조림, 불고기 양념
  • 국자, 종이컵 등 어떤 도구든 2:1:1로 맞추면 OK

2.2 조림 요리 공식 : 간장 3 : 물 3 : 설탕 1 : 다진마늘 0.5

  • 예 : 감자조림, 꽁치조림, 두부조림
  • 국물이 자작하게 남아 감칠맛 UP

2.3 간단한 무침 : 고추장 1 : 식초 1 : 설탕 0.5 : 참기름 0.5

  • 예 : 오이무침, 도라지 무침
  • 단맛은 취향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요

2.4 전 레시피 : 부침가루 1 : 물 1

  • 예 : 김치전, 부추전
  • 너무 묽으면 밀가루 약간 추가, 너무 되면 물 조금 더

3. 비율로 기억하는 요리 실전 예시

3.1 제육볶음

  • 양념 비율 : 간장 2 : 설탕 1 : 맛술 1 : 고추장 1
  • Tip : 양파나 파를 더할 땐 설탕 비율은 조금 줄여도 좋아요


3.2 간장계란밥

간장과 계란으로 만든 간단한 간장계란밥

  • 비율 : 간장 1 : 참기름 1
  • 계란 노른자 위에 솔솔 뿌리면 완벽

3.3 샐러드 드레싱

  • 비율 : 올리브오일 3 : 식초 1 : 꿀 1
  • 잘 섞기만 하면 어떤 샐러드에도 찰떡궁합

4. 자주 사용하는 계량 기준 정리 (눈대중 가이드)

식재료 1숟가락 기준 1컵 기준
설탕 약 12g 약 200g
간장 약 15g 약 180g
식용유 약 14g 약 180g
밀가루 약 8g 약 120g
약 15g 약 200g

팁 : 항상 같은 그릇이나 컵을 기준 도구로 쓰면 내 요리만의 기준이 생깁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진짜 계량도구 없이 요리해도 맛이 날까요?

네. 비율만 잘 지킨다면 도구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맛은 재료보다 균형과 조화에 달려 있습니다.

Q2. 어떤 순서로 재료를 넣어야 하나요?

보통은 단맛 → 짠맛 → 향신료 순이 좋습니다. 설탕이 먼저 들어가야 재료에 잘 배고, 향신료는 마지막에 풍미를 살립니다.

Q3. 국물 요리도 비율로 만들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육수 5컵에 간장 3스푼, 소금 1/2스푼 정도의 비율이 기본 국물 맛입니다.

결론 : 요리의 자유는 비율에서 시작된다

계량이 어렵다고 요리를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제 당신은 비율만 기억하면 어디서든, 어떤 도구로든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어요.

🔁익숙해지면 내 입맛에 맞게 비율을 조정해보세요.
요리는 수학이 아니라 감각입니다.
그리고 그 감각은 연습으로 채워집니다.


📎관련글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