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처음 사용하는 분들은 '어떤 옷은 안 되는지', '건조 온도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헷갈리기 쉽죠.
이번 글에서는 초보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건조기 사용 전/후 주의사항 7가지를 단계별로 안내드릴게요.
단순한 버튼 조작 이상의 실생활 밀착형 팁으로 구성했으니, 끝까지 읽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1. 건조기 사용 전, 라벨부터 확인하세요
모든 옷이 건조기에 들어갈 수 있는 건 아니에요.
건조기 사용 가능 여부는 옷 안쪽의 세탁 라벨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 사각형 안에 동그라미(O) : 건조기 사용 가능
- 동그라미에 X 표시 : 건조기 금지
- 온도 점 1개, 2개 : 낮은/보통 온도 설정 가능
2. 건조 전, 옷을 털고 주머니를 꼭 확인하세요
먼지, 휴지, 동전이 남아 있으면 다른 옷까지 오염되거나 기계 고장의 원인이 돼요.
- 지퍼, 단축, 후크는 잠금 상태로
- 주머니 속 이물질 제거
- 옷을 몇 번 털어 먼지 제거
💡옷을 털면 건조 시간도 단축돼요!
3. 섬유 종류별로 분리해서 넣으세요
혼합해서 돌리면 울은 줄고, 합성섬유는 과열될 수 있어요.
건조기용 세탁망도 적극 활용하세요.
- 타월/속옷/합성섬유 → 보통 온도
- 울/캐시미어/레이온 → 저온 or 자연 건조
- 패딩, 아웃도어류 → 전용 코스 사용
4. 적정 용량 지키기 (80% 이하)
건조기를 꽉 채우면 내부 공기 순환이 어렵고, 옷도 잘 안 마릅니다.
또한 기계에 무리를 줄 수 있어요.
- 용량 7kg 기준 → 빨래 바구니 기준 2/3 정도
- 이불류는 단독으로 돌리기
💡헹굼 후 탈수도 충분히 해서 수분 양을 줄이는 게 좋아요.
5. 건조기 필터는 매 사용 후 청소
먼지 필터는 성능뿐만 아니라 화재 예방에도 중요한 부위입니다.
매번 사용 후 간단히 손으로 털어주세요.
- 먼지 필터(1차) : 보풀, 먼지 제거
- 응축 필터(2차) : 물때나 섬유 찌꺼기 주기적 청소
- 물통형 건조기 → 배수도 잊지 마세요
6. 건조 후 바로 꺼내 접기
건조기에서 꺼낸 후 오래 두면 주름이 생기고, 습기 찬 환경에서 냄새가 날 수도 있어요.
- 끝나자마자 꺼내 접기 or 걸기
- 티셔츠, 바지류는 열기가 남아 있을 때 정리
💡급히 꺼낼 수 없다면 일시 정지 후 뚜껑 열어두는 것도 방법이에요.
7. 옷감 보호를 위한 섬유유연제 대체 팁
건조기용 시트나 공 넣은 공 모양의 건조볼을 활용하면 정전기도 줄이고, 냄새도 좋아져요.
- 드라이시트 → 향기 + 정전기 방지
- 울 건조볼 → 천연소재, 수분 흡수 효과
- 오일 한 방울 떨어뜨리면 향까지 유지
👉참고 : [섬유유연제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건조기 한 번 돌리면 전기요금 얼마나 나오나요?
모델과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1회 사용 시 약 100~300원 수준입니다. 에너지 효율 등급도 확인해보세요.
Q2. 건조기 돌렸는데도 빨래가 덜 말랐어요. 왜 그런가요?
과적재, 필터 막힘, 잘못된 코스 선택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설정 온도와 용량을 다시 확인해보세요.
Q3. 이불도 건조기에 넣어도 될까요?
가능합니다. 단, 단독 코스로 설정하고, 털이 뭉치지 않도록 건조볼과 함께 돌리면 더 좋아요.
마무리 정리
건조기는 분명 편리한 도구지만, 올바른 사용법을 모르면 옷 손상 + 기계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 소개한 7단계만 기억해도, 건조기 초보 → 고수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습니다.
📌바로 오늘, 빨래 돌린 후 이 글을 참고해서 똑똑하게 건조기를 사용해보세요!
더 오래, 더 깨끗하게 입을 수 있어요,😊
0 댓글